통계/K-MOOC 통계학의 이해Ⅰ
-
확률밀도함수통계/K-MOOC 통계학의 이해Ⅰ 2023. 7. 28. 17:32
오늘 들었던 강의 목차 [7주] 확률변수와 확률분포 확률변수란 이산확률변수와 확률질량함수 연속활률변수와 확률밀도함수 확률변수의 기댓값 확률밀도함수(probablity density function) 정의 연속확률변수 X의 확률분포를 나타내는 함수 내용 확률밀도함수는, 연속확률변수의 확률분포를 밀도(density)로 나타낸다 왜? 연속확률변수가 x값을 갖는 확률은 0이기 때문에 확률분포를 밀도로 표현하는 것 시계 바늘로 예를 들어보면, 확률변수의 확률분포가 0 이상 360도 미만의 모든 실수값을 가질 수 있는데, 이 경우 무한대이므로 각각의 경우에 대한 확률은 0이 된다. 따라서, 확률분포가 무한대인 연속확률변수의 분포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특정한 값이 아니라 구간을 지정하여 설명(=확률밀도함수의 면적으로 ..
-
조건부 확률통계/K-MOOC 통계학의 이해Ⅰ 2023. 7. 27. 16:55
오늘 배웠던 강의 목차 [6주] 조건부 확률 확률의 정리 조건부 확률 독립사건 베이즈정리 조건부 확률(conditional probability) 정의 확률실험에서 새로운 정보 또는 조건(A)이 추가됐을 때, 사건 B의 확률 특징 - 사건 A가 발생했다면, A 이외의 것은 일어날 수가 없음 - 따라서, A가 새로운 표본공간이 되고, B가 발생한다는 것은 => A ∩ B 에 있는 원소가 발생하는 것을 의미 => 새로운 정보 또는 조건이 추가되면서 표본공간이 축소됐다고 생각하기! 식 P(B|A) = P(A∩B) / P(A) , P(A) > 0 * P(A) > 0 : 위 식에서 P(A)가 분모이기 때문에 P(A)가 0이라면 위 식이 성립할 수가 없음. 따라서 이런 조건이 필요함 활용 P(A∩B) = P(A) ..
-
가중치통계/K-MOOC 통계학의 이해Ⅰ 2023. 7. 26. 21:01
오늘 배웠던 강의 목차! 통계학이란? 모집단과 표본 표본추출 가중치 통계 프로그램 안내 및 과제 일변량 자료 기술통계 자료의 분류와 특성 범주형 자료 정리 일변량 자료에 대한 수치적 기술통계 다변량 자료 기술통계 확률의 기본 개념과 원리 확률이란? 경우의 수 오늘 배웠던 내용 중에 가중치 개념을 복습하고자 함! 가중치(Weight) 정의 [한자 풀이] - 加重値 : 더할 가, 중요할 중, 값 치 - 전체에서 가지는 중요성을 높이기 위하여 특정 부분이나 요소에 일정한 수치를 더한 것. - 근데, 통계학에서는 약간 의미가 다른 것 같다 (내 생각 ㅇㅅㅇ) [통계학에서 사용되는 의미(내가 이해한 바로는)] - 한 개의 표본이 얼만큼 중요한지를 나타내는 수치 - 여기서 중요하다는 것의 의미는, 모집단을 얼마나 ..